본문 바로가기
효니의 잡학사전/의학·제약 관련정보

임상시험에 대한 모든 것 (역사, 규정)

by 효니임당 2020. 6. 26.

안녕하세요!

지난 글에 이어 이번에는 임상시험(Clinical Trial/Study)의 역사 및 임상 관련 규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임상시험의 역사

신약이 실제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유효성과 안전성 입증이 필요하기 때문에, 불가피하게 인간에 대한 시험이 필요합니다. 이전 글에서 말씀드린 바와 같이, 임상시험은 사람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임상시험을 진행하는 데 있어서 윤리적 고려가 필요합니다.

 

역사적으로 많은 사건이 있었고, 임상시험에 대한 인식이 아직까지도 '마루타' 등과 같이 부정적인 면도 있는데요, 현재는 임상시험에 대해 시험대상자의 인권, 안전, 복지 및 비밀보장을 유지하며 국제적으로 정해진 엄격한 윤리지침에 따라 수행되도록 하고 있고, 계속해서 규정이 강화되고 있습니다.

 

그럼 임상시험의 윤리적 고려의 필요성이 대두되게 한 대표적인 역사적 사건들과 마련된 규정/지침에 대해 간단하게 살펴보겠습니다.

 

1. 나치 생체실험

  • 제2차 세계대전 종전 후 뉘른베르크 법정에서 밝혀진 나치 독일의 군진의학
  • 아유슈비츠 수용소에서 독일 정부 지원 하에 유태인 및 다른 소수민족들을 대상으로 행해진 생체실험
  • 비인간적인 절차로 뼈/근육/신경 이식실험, 냉동 실험, 독극물 실험 등           

 

뉘른베르크 강령(The Nuremberg Code. 1947)

  • 최초의 의학연구 윤리강령으로 이후 의학연구 윤리규정의 기초가 됨.
  • 시험대상자의 자발적 동의는 절대적으로 필수적임을 명시함.
 

뉘른베르크 강령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뉘른베르크 강령이란, 의료 및 심리학적 생체 실험의 준비와 진행에 있어서, 오늘날 쓰이는 핵심적인 윤리 법칙이다. 뉘른베르크 강령은, 뉘른베르크 의사 재��

ko.wikipedia.org

 

2. 탈리도마이드(Thalidomide) 사건

  • 1950년대 후반부터 1960년대까지 임신 초기 입덧 방지용으로 탈리도마이드(Thalidomide)가 사용되었음.
  • 각종 동물실험에서 부작용이 거의 드러나지 않았기 때문에 '부작용 없는 기적의 약'으로 선전하였으나, 인간에게는 치명적인 부작용을 보임.
  • 이 약을 복용한 임산부들이 전 세계 46개국에서 1만여 명이 넘는 기형아를 출산함(혈관형성 억제 부작용으로 해표지증(Phocomelia : 팔, 다리의 뼈가 없거나 극단적으로 짧아 손발이 몸통에 붙어 있는 기형 발생을 초래함).

 

→ 케파우버-해리스 수정안(1962)

  • 의약품의 강력한 규제에 대한 대중의 지지로 의약품의 유효성 입증을 요구하는 법안이 발효됨.
  • 이 수정안에 따라, 모든 의약품이 허가를 받기 이전에 의약품에 대한 안전성뿐만 아니라 유효성(의약품이 효과가 있다는 것)을 입증해야 하고, 이는 현재 임상시험 승인 과정 중의 하나인 임상시험계획 승인 신청(IND: Investigational New Drug application) 규정의 기초가 되었으며, 이상반응(AE: Adverse Event)에 대한 의무적으로 보고하도록 함.

 

→ 헬싱키 선언(Declaration of Helsinki)(1964)

  • 1964년 핀란드 헬싱키에서 열린 세계 의사회 18차 총회에서 제정된 인체 대상 연구의 가장 대표적이고 국제적인 의학연구 윤리기준
  • 각 연구기관에 임상시험심사위원회(IRB: Institutional Review Board)를 설치하여 임상시험 계획서를 검토하고 사전 승인하도록 요구됨
  • 각 나라의 연구 기관에서 연구윤리 및 심의 지침을 만드는 주요 원칙 및 가이드라인 역할
 

헬싱키 선언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헬싱키 선언( - 宣言, Declaration of Helsinki) 1964년 핀란드 헬싱키에서 열린 세계의사협회 총회에서 채택된 의료 윤리 선언이다. 1947년 6월 나치즘의 인체실험에 대��

ko.wikipedia.org

 

3. 터스키지 매독 연구(Tuskegee Syphilis Study)

  • 1932년 미국 공중보건국이 ‘나쁜 피(Bad Blood) 보유자에 대한 무료 치료’라는 제목으로 흑인 매독 환자 399명을 대상으로 매독의 자연경과를 관찰하기 위해 장기 추적관찰을 시행함.
  • 환자들은 연구 목적에 대해 알지 못했으며, 동의서 취득 및 적절한 치료 절차를 받지 못함.
  • 매독 치료에 효과적인 항생제 페니실린(Penicillin)이 개발된 후에도 연구에 참여한 환자에게 페니실린을 투여하지 않고 1972년까지 연구를 지속하여 비윤리적 연구라는 사실이 드러남.
  • 1997년 빌 클린턴(Bill Clinton) 미국 대통령이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와 가족들에게 공식적으로 사과함.

 

→ 벨몬트 보고서(The Belmont Report)(1979)

  • 터스키기 매독 연구의 심각성을 인지한 후에 1974년 연구 윤리 강화를 위한 국가 연구법(National Research Act)이 통과됨.
  • ‘생명의학 및 행동 연구에서의 피험자 보호를 위한 국가위원회'에서 인간 대상자 보호를 위한 윤리적 원칙과 지침이라는 보고서를 작성하였고, 979년 4월 18일에 ‘벨몬트 보고서’로 발간됨.
  • 벨몬트 보고서는 연구윤리의 기본 원칙을 인간 존중(Respect for Persons)’, ‘선행(Beneficence)’, ‘정의(Justice)'로 요약함. ① 인간 존중의 원칙: 개개인은 자육적인 행위자들로 존중받아야 하며, 자율성이 제한된 개인은 보호받아야 한다.  ② 선행의 원칙: 대상자의 복지와 안녕을 지켜야 하므로 대상자에게 해를 끼치지 말며, 가능한 이익을 최대로, 가능한 손실을 최소화해야 한다. 정의의 원칙: 대상자를 선택할 때나 시험 결과를 누리는 데 있어 공평해야 한다.

 

→ ICH(International Conference on Harmonization)(1990)

  • 국제의약품규제조화위원회(ICH: International Council for Harmonisation of Technical Requirements for Pharmaceuticals for Human Use)는 규제 기관과 제약 업계가 모여 과학기술적 측면에서 제약 개발 및 등록을 논의하기 위해 설립한 국제회의로, 기술 지침과 제품 등록 요건의 조화를 통해 공중 보건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의약품국제조화회의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의약품국제조화회의(International Council for Harmonisation of Technical Requirements for Pharmaceuticals for Human Use, ICH)는 규제 기관과 제약 업계가 모여 과학기술적 측면에서 제�

ko.wikipedia.org

  • ICH-GCP(1996): 선진국에서 신약개발 및 개발된 약물의 승인에 있어 약물의 품질, 안전성, 효능을 평가하는 통일된 기준이 필요하였고, 미국, 유럽(EU), 일본 3개국의 임상시험 기준을 통일하여 이들 국가의 담당 정부부처에서 임상연구 자료를 상호 승인이 목적으로 가이드라인이 제공됨. 우리나라는 미국, 유럽위원회(EC), 일본, 스위스, 캐나다에 이은 6번째로 ICH회원국으로 가입하였음.
  • ICH Guideline은 Quality(Q), Safety(S), Efficacy(E), Multidisciplinary(M) 4개 파트로 가이드라인이 구분되어 있고, Efficacy Guideline 중, E6 항목이 GCP(Good Clinical Practice: 의약품 임상시험 관리기준)이다.
  • GCP는 FDA 규정과 지침, GCP에 대한 ICH 지침, 헬싱키 선언이나 벨몬트 보고서와 같은 윤리적 규범을 포함한다.(ICH 가이드라인
 

ICH Official web site : ICH

 

www.ich.org

 

우리나라 임상시험 관련 규정

  • 1995년 10월 KGCP(Korea Good Clinical Practice: 한국 의약품 임상시험 관리기준)이 시행되어 의무화되었고, ICH-GCP 가이드라인 공포에 따라 2001년 1월부터 기존 임상시험 관리기준을 ICH-GCP에 적합하도록 수정하여 새로운 KGCP제도를 정착하였습니다. KGCP는 ICH-GCP의 내용과 거의 동일하며, 우리나라의 실정에 맞는 내용이 일부 추가되었습니다.
  • 2013년 KGCP는 가이드라인(임상시험관리기준)에서 법령(의약품 등의 안전에 관한 규칙, 별표 4)으로 승격되어 더욱 강화되었습니다. 이후 지속적으로 국제적 기준에 맞도록 제도를 보완하고 있으며, 임상시험 종사자들에 대한 전문성과 윤리성 향상을 위한 교육도 매년 의무적으로 실시되고 있습니다.
  • 이외에도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 개인정보 보호법과 같은 규정이 마련되어 있습니다.

kgcp

KGCP(의약품 등의 안전에 관한 규칙, 별표4)

 

국가법령정보센터

1 2 3 4 5 6 7 8 9 0 Bksp ㅂ ㅈ ㄷ ㄱ ㅅ ㅛ ㅕ ㅑ ㅐ ㅔ Shift ㅁ ㄴ ㅇ ㄹ ㅎ ㅗ ㅓ ㅏ ㅣ ㅋ ㅌ ㅊ ㅍ ㅠ ㅜ ㅡ 띄어쓰기 검색

www.law.go.kr

 


 

지금까지 임상시험의 역사 및 관련 규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임상시험을 통해서 환자들은 치료비에 대한 부담 없이 치료 기회를 얻을 수 있고, 또한 생존 가능성이 없는 환자들에게도 새로운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과거의 비극적인 사건들을 겪으며 임상시험 수준이 향상되어 왔고, 임상시험 관련 규정 및 임상시험 참여자에 대한 보호 장치가 마련되고 지속적으로 보완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임상시험의 질적 수준이 계속해서 향상되고 올바르게 진행되어서 신약 개발에 이바지하고, 나아가 인류의 건강증진에 기여하길 바래보면서 오늘 글은 여기서 마치겠습니다.

무엇보다 하루 빨리 코로나 임상시험에서 좋은 결과가 나와 백신과 치료제가 나오길 바라면서..

그럼 다음에 만나요!

반응형

댓글